매트랩의 코스로 튜토리얼부터 기초를 다지고 나가면 좋을 듯 하다.
오늘 실습해 볼 코드는 다음과 같다.
%% Tutorial 1
a=1
a=1; % 세미콜론 ; 의 의미
b=2;
c=a+b;
%% exercise
이 코드를 활용하여 매트랩을 시작할 때 알아두면 편한 내용에 대해서 언급한다.
Tutorial 1.
주석처리와 블럭 설정
파일 실행 및 부분 실행
변수 설정
1.1 주석처리와 블럭 설정
왼쪽 위에 있는 새로만들기 또는 Ctrl + N을 눌러 새로운 편집기를 띄운 후
코드를 편집기에 옮겨 적으면 그림과 같이 색깔이 나누어지게 된다.
코드에 색이 나누어 지게 하는 방법은 "%%" 를 사용하고 한 칸 띄움으로써 사용할 수 있고 하나의 블럭으로 설정한다.
이는 코드 실행에 있어 나누어지는 부분을 설정하게 되며 코드가 길어지거나 일부만 실행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.
블럭 설정된 부분을 Ctrl + Enter를 누르거나 위쪽의 실행 버튼을 누름으로써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.
이 때 Ctrl + Enter는 파일 저장을 할 필요가 없지만 실행버튼을 누르게 되면 파일을 저장하라고 뜬다.
1.2 파일 실행 및 부분 실행, 저장
파일 실행 : 블럭의 아무곳에 커서를 클릭하고 Ctrl + Enter를 누르거나 위쪽의 실행 버튼을 누름으로써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. 이 때 Ctrl + Enter는 파일 저장을 할 필요가 없지만 실행버튼을 누르게 되면 파일을 저장해야 한다.
저장 : Ctrl + S 또는 왼쪽 위부분의 저장을 누르면 되고 제목은 영문으로 시작해야하며 영문, 숫자, _(언더바)만 사용할 수 있다.
부분 실행 : 다음과 같이 원하는 부분을 드래그 하고 F9를 눌러 실행하면 드래그 한 부분만 실행이 가능하다.
1.3 변수 설정
코드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특별한 기호 없이 변수를 바로 설정할 수 있다. ex) a=1;
변수의 이름 : 대,소문자와 _(언더바), 숫자의 조합으로 이룰 수 있으며 띄어쓰기를 허용하지 않는다. ex) Test_1_12
세미콜론 ; 의 의미 :
매트랩에서 세미콜론 ; 는 답을 명령 창에 보여주는지 안보여주는지의 차이이다.
위의 코드를 실행하였을 때 명령 창에 a=1이라는 결과를 볼 수 있었고 이는 세미콜론을 표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.
a=1 % 세미콜론 없음
a=1; %세미콜론 있음
다음을 옮겨 실행한다면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.
마지막으로 코드를 명령창에 그대로 옮기는 방법도 있는데 실행이 되는것을 같지만 저장을 할 수 없다.
'매트랩 사용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atlab] 매트랩 스크립트 합치기 / 편집기 되돌리기 (0) | 2022.07.29 |
---|---|
[Matlab] 매트랩 : 구성요소 및 구조 (0) | 2022.07.29 |
[Matlab] 매트랩 설치 (0) | 2022.07.29 |
댓글